분류 전체보기50 인지과학 Fecher's three methods [Method of limit, method of adjustment, method of constant stimuli] Classical method 1. method of limit 2. method of adjustment 3. method of constant stimuli 4. adaptive method 5. signal detection theory 6. identification experiment Threshold 1. Detection threshold (Absolute threshold) 2. Discrimination threshold (difference threshold) Absolute threshold: 절대역 = 사람이 자극을 알아차리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강도를 말한다. 절대역 이하의 자극은 역학자극이라고 함 Method of limit : 한계법 자극의 강도를 약한수준 에서 조금씩 순차적.. 2019. 6. 17. 쉽게 배우는 알고리즘 그래프 그래프는 현상이나 사물을 정점과 간선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정점은 대상이나 개체를 나타내고, 간선은 이들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래프는 두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방향을 가진 관계의 그래프 예를 들어 기업간의 제품공급관계, 제품 생산 공정에서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유향그래프 라고 하며, 간선의 방향이 없는 그래프는 무향그래프, 무방향 그래프 라고 한다. 그래프에서는 1. 그래프의 표현 2. 너비 우선 탐색BFS 과 깊이 우선 탐색DFS 3. 최소신장트리 4.위상 정렬 5. 최단 경로 6. 강연결 요소 를 다뤄보도록 한다. 1. 그래프의 표현 그래프의 표현법에는 행렬을 이용한 인접행렬방법과, 인접 리스트를 이용한 방법, 인접배열과 인접 해시 테이블 세가지로 나눠진다. 1. 인접행렬 방법 2. 인접 .. 2019. 6. 11. 동적 프로그래밍 동적프로그래밍에서는 1. 동적프로그래밍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 2. 행렬 경로 문제 3. 돌 놓기 문제 4. 행렬 곱셈 순서 문제 5. 최장 공통부분 순서 LCS 로 나누어져있다. 1. 동적프로그래밍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 우선 , 동적 프로그래밍은 다른 크기의 문제들이 서로 재귀적 관계를 가졌을 때에 재귀호출 알고리즘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중복 호출이 많이 발생했을 시에 사용하면 좋은 기법이다. ※여기서 재귀 호출이란 ?? (Recursive call) 함수란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이다. 재귀호출 함수란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또 다시 호출하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재귀 호출은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호출해서 끊임없이 반복되게 된다. 무한 반복을 막기 .. 2019. 6. 10. 집합의 처리 집합의 처리 영역에서는 두 부분으로 나눠 진다. 1. 연결 리스트를 이용한 집합의 처리 2. 트리를 이용한 집합의 처리 우선은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집합의 처리를 알아보도록 한다. 상호 배타적 집합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세가지 연산이 있다. 1. 연결 리스트를 이용한 집합의 처리 Make-Set(x) : 원소 x로만 구성된 집합을 만든다. Find-Set(x) : 원소 x를 가진 집합을 알아낸다. Union(x,y) : 원소 x를 가진 집합과 원소 y를 가진 집합 하나로 합친다. Make-Set(x) : 원소 하나로 구성된 집합을 만드는데, 노드를 하나 만들어 해당원소를 저장한다. 대표노드로는 자신을 가리키도록 하고, 다음 원소는 없으므로 포인터는 NIL로 해둔다. Find-Set(x) : 원소 x가 포함.. 2019. 6. 9.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