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0 wafer-scale WSI ( wafer-scale integration ) 직접 회로 장치 WSI(Wafer-scale Integration)는 간단히 말해, 단일 "초칩"을 생산하기 위해 전체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매우 큰 집적 회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시스템입니다. WSI는 대용량 및 축소된 패키징을 결합하여 일부 시스템, 특히 대규모 병렬 슈퍼컴퓨터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이 이름은 WSI가 개발될 당시 예술의 현재 상태인 매우 큰 규모의 통합이라는 말에서 따온 것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9&aid=0002283360 https://www.deepspace.ucsb.edu/projects/wafer-scale-spacecr.. 2019. 11. 19. The Importance of Sharing Physical Work 2013 E-Textile Swatchbook Exchange 전자 섬유 분야에서 물리적 작업 샘플들을 나누는 E-Textile 스와치 방법들 Keywords E-Textile; Swatchbook; Exchange of Physical Work Samples; Community; Documentation spreads (print quality): http://etextile-summercamp.org/2013/wpcontent/uploads/2014/06/SwatchBookExchange2013_p rint_DS.pdf 2019. 11. 4. 스마트 센서 기술 unist magazine 사물인터넷 시대의 기반인 스마트 센서는 그 활용도 가 광범위하다. 발레리나의 발바닥에 붙여 발레 동작을 분석하면서 기량 향상을 도울 수 있고, 몸에 붙이면 생체 데이터를 수집해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내장된 센서로 혈당도 파악할 수 있으며, 침대에 부착해 수면 상태를 추적하는 것은 물론 심박수와 호흡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미래의 우렁각시, 스마트 센서 [UNIST Magazine] First In Change 01 2016.04.14UNIST Magazine대외협력팀 print +- ‘그’는 당신의 몸 상태를 분석해 운동을 코칭해주는 트레이너다. 당신의 건강을 염려하고 치료를 돕는 주치의이기도 하다. 운전을 도와주는 베스트 드라이버이자 산업 현장에서 유해가스를 감지해 위험을 막.. 2019. 10. 30. 마찰전기 발전기 기술 https://news.unist.ac.kr/kor/20170530-01/ 출력 20배 높인 ‘마찰전기 발전기’ 기술 나왔다 백정민-양창덕 교수 공동 연구팀, 서로 다른 고분자 결합한 신소재 개발 소재의 유전상수 높이면 출력 높아져… Science Advances 논문 발표 바람이나 진동, 소리, 발걸음 등에서 에너지를 수확하는 기술을 크게 발전시킬 기술이 나왔다. ‘마찰전기 발전기’를 이루는 소재의 전기적 특성을 바꿔 출력을 20배 높이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백정민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양창덕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분자 두 종류를 결합한 신소재와 금속 전극을 마찰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 마찰전기 발전기를 개발했다. 마찰전기 발전기는 두 물체가 스칠 때 만들어지는 전하 불균형을.. 2019. 10. 3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